[이슈현장] 다음주 거리두기 전면 해제…마스크는 현행대로<br /><br /><br />지난 2020년 3월 도입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2년 1개월 만에 전면 해제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정부는 의료체계 일상화도 단계적으로 준비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사회적 거리두기 전면해제가 어떤 의미인지, 이로 인한 재확산 우려는 없는지, 김경우 인제대 백병원가정의학과 교수, 김민하 시사평론가 두 분과 함께 짚어봅니다<br /><br /> 정부가 18일, 그러니까 다음 주 월요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 해제하기로 했습니다. 2년 1개월 만인데, '전면해제'라면 어떻게 달라지는 겁니까?<br /><br /> 일단 마스크 착용 지침은 일단 현행 유진데요. 실내, 야외에서 모두 마스크 착용해야 하는 거죠? 마스크 지침을 2주 뒤 재논의하겠단 방침인데, 이 부분은 어떻게 전망하시고 또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내용을 좀 자세히 들어가서 짚어보죠. 25일부턴 영화관이나 실내체육시설 등에서 음식물 섭취도 가능해진다고요?<br /><br /> 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나 감소 추세라고 보고 거리두기를 해제했습니다. 교수님께선 현재 코로나19 확산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하지만 방역 완화 이후에도 고위험군에 대한 보호는 여전히 필요하지 않겠습니까? 고령층이나 백신 미접종자들은 오히려 감염 위험이 커질 수도 있는 건데,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또 하나 염두에 둬야 할 것이 바로 코로나19 후유증인데요. 오미크론 유행 이후 전 국민의 30% 이상이 코로나19에 감염이 됐고요. 후유증을 호소하는 분들도 많은 상황이잖아요?<br /><br /> 그렇다면, 후유증 진단과 증상 분류, 구체적인 치료 가이드라인 등 마련이 필요하지 않겠습니까? 지금은 아직 코로나19 후유증 치료에 대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잖아요?<br /><br /> 또 정부는 25일부터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1등급에서 2등급으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. 어떤 부분이 어떻게 바뀌고, 이건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도 짚어주시죠.<br /><br /> 가장 궁금하고 관심이 가는 부분이 의료비거든요. 지금은 코로나19에 걸리면 격리 기간엔 정부가 의료비를 전액으로 지원하고 있는데, 앞으로는 본인 부담이 생기는 것 아닙니까? 코로나19 진료, 입원에 대한 본인 부담, 얼마나 늘어나게 될까요?<br /><br /> 정부가 일반 의료체계로 전환을 준비하고 있는 건데요. 언제쯤 전환이 될지, 또 지금 상황에서 일반 의료체계로 전환해도 괜찮은 건지, 이 부분도 궁금하거든요?<br /><br /> 거리두기 해제에 일반 의료체계로 전환까지. 이제 코로나19의 풍토 병화, 그러니까 이른바 '엔데믹'이 오는 건가, 이런 기대감도 생기는데요. 국내외 확산 상황, 정부의 움직임 등을 봤을 때 두 분은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